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프로그래머스게임맵최단거리
- 프로그래머스bfs
- ECCV
- ssd
- 프로그래머스타겟넘버정답
- 프로그래머스타겟넘버파이썬
- Paper list
- 코딩테스트연습
- Pruning Tutorial
- 프로그래머스네트워크
- Faster R-CNN
- Two stage Detector
- deep learning
- Single Shot MultiBox Detector
- Object Detection
- Pytorch pruning
- 다음큰숫자
- 프로그래머스타겟넘버
- pytorch
- 코딩테스트2단계
- 프로그래머스
- 커피후기
- One stage detector
- 코딩테스트네트워크
- 최솟값 만들기
- Code Study
- SSD 리뷰
- 프로그래머스너비우선탐색
- 프로그래머스파이썬
- 타겟넘버bfs
- Today
- Total
목록Study/코딩테스트 연습 (18)
soyeonland

문제 잘못한 풀이더보기from collections import deque#1. 같은 항공권이 중복될 수 있음#2. 모든 도시를 방문할 수 없는 알고리즘?def solution(tickets): answer = [] graph = [] visited = [] all_dict = {} all_dict_revers = {} #print("a"=1): cur_city = q.popleft() cur_num = all_dict[cur_city] answer.append(cur_city) for next_num in range(len(graph[cur_num])): ..
실수한것더보기maps 를 map 이라고 오타내서 문제 (map이라는 함수가 있기 때문에)cur_cnt 를 처음부터 고려하지 않은것?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def solution(maps): answer = 100000 row = len(maps) col = len(maps[0]) visited = [[False]*col for _ in range(row)] # print('visited',visited) dx=[-1,1,0,0] dy=[0,0,-1,1] q = deque() def bfs(): nonlocal answer start = [0,0,1] q.append(star..

문제 실수더보기1. 그래프여서 기계적으로 dx, dy로 접근하였음2. visited가 당연히 2차원일거라고 생각하고 접근새로 깨달은것더보기1. def 안에 def 적어서 활용하는 방법답from collections import dequedef solution(n, computers): answer = 0 visited = [False]*n def bfs(start): q = deque([start]) visited[start]=True while(len(q)>=1): node = q.popleft() for j in range(n): if computers[node..

프로그래머스 dfs/bfs 타겟넘버 python (난이도 level2) - 문제 - 문제 해설주어진 numbers로 모든 경우의 수를 따져야 하는 문제이므로 dfs, bfs로 접근 - 실수했던 point더보기q 초깃값에 -numbers[0] 를 추가할 생각을 못했음 (이번에는 테케를 보고 바꿨지만, 예제에 없으면 틀렸을뻔)q.popleft() 대신 q.pop()을 대신 사용함코드를 정리하지 않고 작성하다가, 생각이 막혀서 변수 다시 정의 - solution (bfs 로 접근)from collections import dequecases = [-1, +1]q = deque() def solution(numbers, target): answer = 0 cnt = 0 q.append(..
1) 실수Case3에서만 실패가 떴었다.기존에 짰던 logic은 set을 이용했는데,set을 이용하면 hta 에서 has 도 변경 가능하게 된다.이렇게 되면 문제 조건을 위배하게 된다 2) 이중 포문이여도 괜찮은 이유단어의 길이가 최대 10 이고 단어 리스트가 최대 50 개이다10*50 = 500 이기 때문에 문제 없다고 판단했다from collections import deque#case1: 변환할 수도 있음#case2: 변환할 수 없을수도 있음deq = deque()def search(begin, target, words): deq.append([begin,0]) while(len(deq)>=1): cur_word, cur_count = deq.popleft() ..
def solution(k, tangerine): classify_box = {} answer = 0 for item in tangerine: if item in classify_box: classify_box[item] += 1 else: classify_box[item] = 1 classify_list = [] for category, cnt in classify_box.items(): classify_list.append([category, cnt]) classify_list = sorted(classify_list, key=lambda x:x[1], revers..
1. from math import gcd2. 약수 이용
역순으로 생각하는게 아이디어.(내가 기존으로 생각하는 방식은 완전 틀렸었다..)참조) https://ok-lab.tistory.com/320#google_vignette 2500 -> 1250 -> 625 -> 624 -> 312 -> 156 -> 78 -> 39 -> 38 -> 19 -> 18 -> 9 -> 8 -> 4 -> 2 -> 1 -> 0 굵은 숫자를 보면, 1번씩 이" data-og-host="ok-lab.tistory.com" data-og-source-url="https://ok-lab.tistory.com/320#google_vignette" data-og-url="https://ok-lab.tistory.com/320" data-og-image="https://scrap.kakaocdn..